[뉴스프라임] 내달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도입…효과와 우려는?<br /><br />■ 방송 : 2021년 12월 27일 <br />■ 진행 : 성승환, 강다은 앵커<br />■ 출연 :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<br /><br />국내에서도 '먹는 코로나19 치료제'를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식품의약품안전처가 화이자의 경구용 치료제 '팍스로비드'국내 긴급사용승인을 결정한 건데요.<br /><br />식약처는 "코로나19 확진자 수와 위중증 환자 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환자 스스로 복용이 가능한 먹는 치료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해, 안전성·효과성 검토 결과와 전문가 자문회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식약처는 또, 머크사의 '몰누피라비르'의 긴급사용 승인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지금까지 선구매 완료한 물량은 화이자 36만 2천 명분과 머크 24만 2천 명분입니다. 이와 별개로 40만 명분에 대한 물량을 추가 확보할 계획인데요.<br /><br />먹는 치료제, 언제 국내에 도입되고 효과는 얼마나 있을지 에서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화이자에 따르면 팍스로비드는 코로나 환자의 입원·사망 위험을 88% 줄일 수 있습니다. 산술적으로 코로나 환자 모두가 복용한다면 10명 중 한 명만 입원한다는 건데, 실제 의료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팍스로비드가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·중등증 환자에게 사용될 예정인데, 중증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있는지는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나요?<br /><br /> 먹는 치료제가 생활치료센터 입소 또는 재택치료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, 경구용 치료제가 없는 지금은 어떻게 치료하고 있나요?<br /><br /> 팍스로비드를 일부 다른 약과 함께 복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. 어떤 약인지 미리 알고 있으면 나중에 처방을 받을 때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정부가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36만 2천명분, 머크사의 몰누피라비르 24만 2천명분등 60만 4천명분 구매 계약을 마쳤습니다. 급한 불을 끌 수 있는 양이라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세계 각국이 먹는 치료제 확보전에 나섰습니다. 백신 때처럼 초기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도 대비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미국은 지난주에 긴급사용 승인 했잖아요. 지금 실제로 처방 받아 치료 받은 사례 있나요? 치료제 복용 예후는 어땠나요?<br /><br /> 간편하게 먹어서 치료할 수 있는 약이 개발되면서, 이제 코로나를 감기처럼 관리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전망도 나오는데요?<br /><br /> 초반에는 경구용 치료제 물량이 부족하겠지만, 이후 생산 물량이 많아지게 되면 백신 접종 없이 치료제만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현재 시행 중인 거리두기 조치가 내년 1월 2일 종료됩니다. 정부는 금요일(31일) 연장 여부를 결정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는데, 어떻게 전망하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